아사히 신문은 간 수상 담화는 한국병합에 따른 창씨개명 등에 따른 한국 사람들이 "국가와 문화를 빼앗겨 민족의 자긍심에 상처를 입었다"라고 명확하게 위치지었다며, 이런 역사인식을 포함한 담화를 병합 100년을 맞이해 발표한 것에 대해 미래지향적 한일관계를 구축해가는 가운데 일정한 평가를 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일본정부가 식민지 지배에 대한 반성과 사죄를 표명한 수상담화는 전후 50년에 발표된 '무라야마 담화', 전후 60년의 '고이즈미 담화'가 있다. 그러나, 두 담화는 '아시아 여러나라'를 대상으로 했음에 비해 간 수상 담화는 '한국'이라는 특정 국가에 맞춘 것이 특징이라고 이 신문은 설명했다.
아사히는 일본이 "한국과 역사인식이나 독도문제를 둘러싸고 지금도 마찰이 끊이지 않는다"고 설명하면서 여전히 역사문제에 관한 인식의 차이가 크다고 전했다.
|
산케인 신문에 따르면 겐바 고이치로 민주당 정조회장 겸 행정쇄신담당상은 "여당인 민주당 내에 여러 가지 견해가 있다. 빠른 단계에서 당측과 보다 상세한 협의가 있어야 했다"고 불만을 나타냈다. 그는 "담화에 적극적이었는지를 묻는다면 나는 적극적이지 않았다"고 말했다.
요미우리 신문은 민주당 중견 의원도 "조선왕조 도서를 건네주는 것은 청구권문제가 이미 끝났다는 종래의 생각에 모순되는 것이 아니냐"는 입장을 폈다고 전했다.
이런 청구권 문제에 대해 하라구치 가즈히로 총무상은 "국제법상 새로운 의무를 일본에 지우는 내용은 없다"면서도 "만약 조금이라도 (그런 내용이) 있었다면 몸을 던져서라도 저지했을 것"이라며 향후 보상 등의 법적 문제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그러나, 자민당의 아베 신조 전 총리는 "역사적 평가는 역사에 맡겨야 한다. 다양한 개별 보상 문제가 비화될 것이 틀림없다. 화근을 남겼다"고 간 총리 및 담화를 주도한 관방장관을 비난했다.
이런 비판에 대해, 내각은 간 총리의 담화문 발표에 대해 재차 지지한다며, 오카다 외상은 "과거 역사에 대해 잘못한 것은 용기를 가지고 제대로 사과해야한다"고 말했으며, 마에하라 세이지 국토교통상은 "간 총리가 주도권을 잡고 이번 담화를 발표한 것은 시의적절했다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아사히는 자민당을 포함해 민주당 내에서도 "언제까지 사과를 계속해야하는가"라는 의견도 있으나, 과거를 겸허하게 반성하는 자세를 내비치는 것은 일본이 아시아 여러나라 속에서 신뢰를 얻고, 국제사회에서 정치적, 경제적 영향력을 유지하는 것에 이어진다고 평가했다. 이 신문은 결코 이번 담화가 일본 국익상 마이너스가 아니라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