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본의 명문대 입시결과를 각 주간지들이 속보로 앞다투어 보도하고 있는 가운데, 중학생을 자녀로 두고 있는 일본 학부모들에게 '명문대 부속 중고교'가 인기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일본에서 대학 입시에 성공하려면 크게 두가지 길이 있다.
첫번째는 초등학교부터 명문대 부속 학교에 들어가서 같은 재단이 운영하는 대학까지 단계적으로 밟아올라가는 방법이 있다.
명문대 부속 학교란 '와세다' '게이오' '릿쿄; '아오야마학원' 등 유명대학의 재단이 운영하는 부속 학교로, 이런 학교의 부속학교는 일단 입학만 하면 에스컬레이터식으로 해당 사립대학에 쉽게 들어갈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10년간의 막대한 학비가 들어간다. 부모가 확실한 경제적 지위를 갖고 있지 않는한 쉽게 선택할 수 카드가 아니다. 대표적으로 일본 자민당의 최대파벌을 자랑하는 모리파의 모리전수상은 이런 '와세다 대학' 출신이다.
두번째는 공립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시험을 쳐서 사립중학교를 간 다음, 고등학교도 입시명문고로 진학하는 방법이다.
첫번째보다는 아무래도 두번째 방법이 학비가 덜 드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길도 학부모에게 만만한 방법이 아니다. 그러려면 초등학교 고학년때부터 여러 학원을 보내면서 사립 중학교 입시라는 관문을 통과해야 한다.
그렇게 중학교 입시를 통과해서 부모가 한숨을 돌렸다고 생각한다면 오산. 중학교 1학년 1학기때부터 엄마들끼리는 이런 대화가 오간다.
'어느 입시 학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