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정부가 한국 국채를 매입하기로 하고 이 같은 의사를 한국정부에 전달했다고 27일 아사히 신문이 보도했다. 일본정부가 한국 국채 매입에 나서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이나 중국과의 정부 간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시책의 일환으로 보이며, 이르면 다음달 3일, 필리핀에서 개최되는 한중일 재무장관회담에서 발표할 전망이다.
복수의 일본 정부관계자에 따르면, 일본 측이 앞으로 한국의 국채를 매입하겠다는 의사를 한국정부에 전했고, 한국정부도 이를 승인했다고 한다.
한국의 국채는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어 자유롭게 매입, 매도할 수 있지만, 일본정부가 한국 국채 매입에 처음으로 나서는 만큼, 예의상 한국에 통지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이미 외화보유액을 이용해 일본 국채를 매입하고 있고 이번 조치로 일본도 한국의 국채를 사들이게 되면 양국은 서로의 국채를 보유하게 된다.
일본이 한국 국채를 매입하는 이유는 금융 분야에서의 협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서다. 작년 10월 한일 정상회담에서는 외환 위기 시 외화를 융통할 수 있는 통화 스와프의 규모를 130억 달러에서 5배가 넘는 700억 달러로 확충하는 데 합의한 바 있다.
일본은 중국과도 올 3월, 중국 국채 매입에 합의한 바 있다. 일본은 총 103억 달러 상당의 중국 국채를 매입하기로 중국 측과 합의했고, 앞으로 서서히 매입을 진행할 예정이다.
중일, 한일 간의 정부 간 연계가 강화되는 이유는, 유럽 재정위기가 아시아에 파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중일 3개국은 동남아시아 국가연합(ASEAN)과 협력해 '아시아판 IMF(국제통화기금)'로 불리는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기금(CMIM)의 자금 규모 확충도 협의하고 있다. 외환 위기 시 외화가 부족하게 된 국가에 자금을 융통해 유럽발 위기가 아시아에 파급되는 것을 막기 위한 노력이라고 아사히 신문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