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새 지도자인 김정은 제1서기가 올해 1월, 조선노동당 간부들에게 북한의 최대 터부 중 하나인 자본주의 방식 도입을 포함한 경제개혁 논의를 촉구했던 것으로 드러났다고 16일 마이니치 신문이 보도했다.
이는 마이니치 신문이 입수한 김 제1서기의 발언록(1월 28일 자)으로 판명됐다.
북한은 지금까지 국가에 의한 통제경제를 펼치고 있었으나, 심각한 경제 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이를 탈피하기 위한 실마리를 찾기 위해 김 제1서기는 가까운 장래에 대폭적인 경제 개혁을 실시할 가능성이 나왔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발언록에 따르면, 김 제1서기는 "경제부문의 일꾼과 경제학자가, 경제관리법에 관해 '이런 방법은 어떻습니까'라고 제의하면, 색안경을 끼고 '자본주의적인 방법을 도입하려 한다'고 비판한다. 이 때문에, 경제관리에 관한 의견을 가지고 있어도 말하려 하지 않는다"고 언급하며, 경제개혁을 위한 논의 과정에서 전문가가 위축되어 있다는 인식을 밝혔다.
덧붙여 "비판만 해서는, 경제 관리 방법을 현실발전의 요구에 맞춰 개선할 수 없다"고 지적하며, 금기 없는 논의를 통해, 자국에 맞는 경제재건책을 찾도록 지시했다고 한다. 또한, 이론이나 과학적 계산에 기초하지 않은 점이 경제관리상의 최대 문제라고 강조했다.
조선노동당 관계자 또한 마이니치 신문의 취재에 "김정은 동지는 최근, 당간부들에게 '중국에서든, 러시아, 일본에서든, 사용할 방법이 있으면 도입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고 한다. 이 신문은, 김 제1서기가 경제 붕괴가 강한 위기감을 안고 있으며, 대응에 초조해하고 있는 모습을 보였다고 전했다.
또한, 이 신문은 발언록을 통해 김 제1서기가 현 북한의 경제 상황을 비관적으로 바라보고 있다고 전했다.
발언록에 따르면, 김 제1서기는 "공장이나 기업이 충분히 가동되지 않고, 인민의 소모품에 생산보장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인민에게 이런 저런 생활상의 불편을 안기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발언록이 쓰인 약 20일 후인 2월 16일에는 부친의 고(故) 김정일 총서기 탄생 70주년 기념일을 맞이했으나, 김 제1서기는 "인민들에게 공급할 축하 물자도 제대로 준비할 수 없다"며 비관했다고 한다.
발언록에 따르면, "인민은 괴로운 생활 속에서도, 변화가 없는 우리 당(조선노동당)에 따르고 있다. 이 같은 훌륭한 인민에게, 더 훌륭한 물자, 문화 생활을 보장해줘서, 인민이 언제라도 어디서도 '노동당 만세'를 부를 수 있도록 해야한다"며 당간부에 대책을 요구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