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8월 15일 전후는 '오봉연휴'가 한창인 시기입니다.
'오봉(お盆)이란 조상의 영혼이 저 세상에서 현세의 우리들 곁으로 돌아온다고 생각되는 시기로 한국의 '추석'과 같은 것이지요.
원래는 음력 7월 15일 전후에 행해지던 행사였으나, 양력으로 치르게 되어 (메이지 6년, 1873년) 양력 8월 15일 전후를 가리키게 되었습니다.(지역에 따라서는 양력 7월 15일 전후를 가리킨다 )
13일인 '오봉 첫날'에는 제등에 불을 밝히고 '돌아오는 불(무카에비)'이라고 해서 정원 앞이나 문앞에 작은 화톳불을 피워서 우리들 앞으로 돌아온 조상님의 영혼을 집까지 들이기 위한 길 안내를 합니다. 14일,15일은 불단 앞에서 이 조상님에 대한 제사를 지냅니다.
그리하여 16일인 '
|
재미있는 것은 가지나 오이에 나무젓가락 등을 부러뜨린 것을 4개씩 꽂아서 다리에 달고, 각각 소나 말처럼 보이도록 장식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타고 조상님은 우리들 곁으로 찾아오는 셈입니다.
찾아오실때는 오이로 된 말을 타고 빠르게, 돌아가실 때는 많은 짐을 가지로 된 소에 싣고 천천히 가시도록 하는 바람이 담겨있다고 합니다.
어린 시절에는 도쿄에도 문 앞에 이런 채소로 된 소와 말을 볼 수 있었는데, 요즘에는 거의 볼 수 없게 되었습니다만...
|
그럼, 음력 8월 15일, 정말로 한국의 '추석'(올해는 10월 3일이네요)에 해당하는 날은 일본에서 어떤 날일까요
중국이나 한국의 조상 공양과는 달리 일본은 '달 구경'이라고 해서 오로지 보름달이 된 달님을 바라보며 즐기는 밤일 뿐입니다. 이날 밤은 달님에 대해 억새나 경단, 술 등을 바칩니다.
또 다른 설로, 빼놓을 수 없는 보름달은 풍성함의 상징이며, 보름달을 향해 풍작을 기원했다는 설도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우리들이 실감하는 것은 그저 명월을 사랑하면서 풍류를 즐기는 저녁이었다는 느낌이라는 것이지요.(번역 김현근)
日本の秋夕、「お盆」
日本の8月15日前後は「お盆休み」の真っ最中。
「お盆」 そもそもは旧暦の7月15日前後に行った行事でしたが、 13日の「お盆の入り」には提灯を灯し、「迎え火」 14日・15日はお仏壇にご先祖様を祀ります。 そして16日の「お盆の空け」にも「送り火」といって、 面白いのはナスやキュウリに割り箸などを折ったものを四本ずつさ お出でになるときはキュウリの馬に乗って早く、 子供の頃は東京でも門かどにこのような野菜の牛馬をみかけたもの この時期、会社は「お盆休み」になり、 みんな両親の許でお盆を過ごそうと、 また、お盆休みだからといって、 では、旧暦の8月15日、まさに韓国の「秋夕」( 中国や韓国の先祖供養とは異なり、「お月見」」 この夜はお月様に対して、ススキやお団子、お酒などを供えます。 一説には欠けるところのない満月は豊穣の象徴であり、 でも、私達の実感で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