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케이 신문에 따르면, 양국 총리는 한반도 정세에 관해 "냉정하고 적절한 대응을 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한다. 노다 총리는 회담 후의 기자회견에서 "6자회담을 열 수 있는 환경을 함께 만들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노다 총리는 회담에서 "김일성 국방위원장의 사망으로 동아시아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고 지적하고 6자회담 의장국인 중국이 힘을 쏟아야 한다고 밝혔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
또한, "한반도의 비핵화 및 평화와 안정은 중국과 일본뿐만 아니라 관계국의 공통 이익"이라며, 북핵 미사일 개발에 우려를 전달했다고 한다. 또한, 북한의 일본인 납치문제를 비롯한 일본인의 안전확보에 중국 측의 협력을 요청했다.
이날 양국 정상은 동중국해의 해양위기관리를 위해 외무성 차관급을 톱으로 하는 '고위급 사무레벨 해양협의' 창설에도 합의했다.
노다 총리는 동중국해 가스전의 공동개발협의 조기재개를 촉구했지만, 원자바오 총리는 "노력하겠다"는 답변에 그쳤다고 한다.
이 자리에서 원자바오 총리는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1원전사고로 인해 강화됐던 중국의 일본산 수입 식품 규제도 완화하겠다고 밝혔다.
아시아의 경제통합에 관해서 노다 총리는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뿐만 아니라 한중일과 동남아시아 국가연합을 포함하는 경제블록 창립에 중국도 협력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원자바오 총리도 "동아시아의 경제 통합도 함께 생각해보자"며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고 산케이 신문은 전했다.
한편, 내년 중일 국교정상화 40주년을 앞두고 원자바오 총리는 센다이 시 동물원에 팬더를 보내고 싶다는 생각을 전했다고 한다. 또한 "양국이 라이벌이 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일본 총리의 공식 중국 방문은 민주당으로의 정권 교체 이후 처음이다. 일본 총리의 중국 방문은 2009년 4월의 아소 타로 총리의 방중이 마지막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