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공정거래위원회가 대형 IT 기업으로부터 인재 스카우트에 나섰다. 대형 IT 기업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기업들은 중앙 정부 기관의 관료를 고용하여 방어를 강화하고 있다. 이에 위원회 측은 IT대기업에 정통한 인재를 확보해 대응한다.
위원회는 10월부터 대형 IT 기업 혹은 그 거래처에서 4년이상의 실무경험을 가진 이들을 대상으로 채용모집을 시행했다. 특정 업종에 초점을 맞추어 인재 확보를 시도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라고 한다.
정부 규제가 자사에 이로운 방식으로 작용하도록 하는 정부 로비 업무 업무 경험자를 우선 1명 채용한다. 채용 뒤에는 주로 공정거래위원회 측에 서서 거대 IT업체와 이해관계를 절충하는 역할을 맡는다.
초거대 IT기업 4사를 통칭하는 'GAFA'에 속하는 Google, Apple의 일본법인은 경제산업성과 총무성, 공정거래위원회 출신자가 정부 로비를 담당하는 간부를 맡고 있다. 관청의 실무를 잘아는 전직 관료가 정부와의 협상을 담당하는 형식으로, 공정거래위원회는 반대로 거대IT기업의 인재를 채용해 IT기업과의 구도를 유리하게 이끌어내려는 의도다.
임기는 원칙적으로 2년. 5년까지 연장할 수 있다고 한다. 급여수준은 공정거래위원회의 직원과 동일하지만, 위원회의 한 간부는 "정부에서 경험을 쌓고 싶은 인재는 젊은층을 중심으로 일정수 존재한다"고 언급했다.
거대IT기업의 경우, 과점 폐해가 문제시되고 있어, 각 나라의 정부가 규제강화에 나서고 있는 현실이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조사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민간 변호사도 대거 채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