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정부는 해상풍력 등 해양의 재생 에너지 이용을 통해 전력발전을 추진하는 방침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내년에는 대규모 실험 해역을 지자체로부터 공모해 선정할 계획으로 해양 에너지 발전의 조기 실용화에 전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이 같은 방침안은 25일, 노다 요시히코 총리가 본부장으로 있는 '종합해양정책본부'에서 확정될 전망이다.
일본은 영해와 배타적경제수역(EEZ)을 포함한 면적이 약 447만㎢(세계 6위)에 이르는 해양대국이다. 해양 발전에는 해상에서 부는 바람이나 파도의 상하 운동, 조수 간만의 차이, 해수 온도의 차이 등을 이용한다.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의 예측에 따르면, 일본의 전 해안선에 밀려오는 파도의 잠정적 발전 능력은 원전 36기분에 해당하는 에너지라고 한다.
방침안에 따르면, 해양풍력이나 파력(波力), 조력(潮力) 등의 폭넓은 발전방식에 관해 올해 안으로 조건을 설정하고, 2013년에는 지자체로부터의 공모를 통해 먼저 1곳 이상을 선정한다. 이후 순차적으로 늘려간다는 것.
실증 실험에는 대기업뿐만 아니라 벤처기업의 참가도 허가한다. 해저 케이블 설치에는 금전적 지원도 시행할 계획이다.
|
이번 방침안에는, 이외에도 각지의 해양 에너지 잠재력을 정리한 '해양대장'의 정비와 발전시설의 안전성을 보증하는 새로운 제도의 검토 등이 담겨 있다.
동일본대지진 이후 태양광이나 풍력 등 재생 에너지가 관심의 대상으로 떠오르면서 "섬나라 일본은 육상의 발전시설정비에 한계가 있다. 오히려 해양에 큰 가능성이 있다"(정부관계자)는 인식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종래의 에너지 정책이 원전중시였던 까닭에 해양발전 시설은 야마나시 현이나 홋카이도 현 등에 한정됐다.
해상풍력 발전의 실증실험에 착수해왔던 경제산업성, 환경성은 앞으로 지자체와 연계해 해양 에너지 개발을 지원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