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혼 게이자이 신문이 발표한 '사장 100명 앙케이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본의 경영자 약 40%가 현재의 엔고현상이 진정되지 않거나, 세재 전면 재검토가 진행되지 않을 경우, 3년 이내에 생산거점 등을 외국으로 옮길 생각이라고 밝혔다.
지진 이후 정책과제의 전면보류된데다, 에너지 정책의 혼선이 극심해 전력 부족 문제가 장기화될 우려가 커졌다. 이 때문에 자국 내 생산이 유지될 수 없을 것이라는 위기감이 일본 기업들 사이에서 퍼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외국에 옮길 대상을 최대 3개까지 고르라는 질문에, 답변자 20%가 '주력이 아닌 생산거점'이라 답했다. '일부 연구개발거점'은 두번째로 많은 17.1%였다. '일부 본사기능', '주력 생산거점'이라 답한 이는 10%였다. 폭넓은 분야에서 일본 기업의 국외 유출이 가속화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냈다.
이미 기업 이전 움직임은 나타나고 있다. 대형 화학그룹인 '도레'는 2013년 가동을 목표로 한국에 주력 상품 중 하나인 탄소 유지 공장을 신설하기로 했다. 또한, 파나소닉은 4월에 공표한 사업계획에서 조달, 물류 등 일부 본사 기능을 아시아로 옮길 방침을 내세웠다.
한편, 기업이 국내 거점과 수익력을 유지하고 확대하기 위해, 일본 정부가 조기에 취해야 할 제도적 과제로 가장 많이 꼽힌 것은 '전력부족 해소책을 포함한 종합적인 에너지 정책'이었다. 50.7%를 기록했다. '법인세 인하'가 36.4%, '환태평양 경제연계협정(TPP) 참가'가 35%로 그 뒤를 이었다.
일본 경기가 다시 살아날 조건 3가지를 묻는 질문에는, 무려 64.2%가 '전력난 해소'를 꼽았고, 두번째는 '세계 경제의 안정'으로, 54.7%를 기록했다. 엔화 가치의 바람직한 수준으로는 52.9%가 '1달러 85엔 이상 95엔 미만'을 선택했다.
사장 100명 앙케이트는 국내 주요 기업의 사장(회장, 임원 포함)을 대상으로 분기마다 실시되며, 이번 조사에서는 140개 사로부터 답변을 얻었다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