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자 도쿄신문에 따르면, 도쿄전력 등 일본기업들이 후쿠시마 제1원전사고 후, 말레이시아 첫 원전건설 계획에 대한 '사업화 조사' 입찰을 단념하겠다고 일본, 말레이시아 양국 정부에 밝혔다고 한다. 이날, 복수 외교소식통이 이 같이 전했다.
일본과 말레이시아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도쿄전력은 관련회사를 통해 입찰을 예정하고 있었지만 "원전사고가 안정화되지 않은 단계에서의 입찰은 일본 안팎의 이해를 얻기 어렵다"고 판단, 단념의사를 양쪽 정부에 전달했다고 한다.
사업화 조사 내용에 따라 원자로 형식이 정해지기 때문에, 조사참가 단념으로 일본이 말레이시아 원자로 건설 사업을 수주할 가능성은 거의 없어졌다.
일본은 자국 안팎서 '반원전' 여론이 뜨거워지고 있는데다,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여파가 커 결국 이번 말레이시아 수주 입찰을 단념하기에 이르렀다. 원전 기반기술의 아시아 수출을 자신들의 성장전략의 중심으로 삼아왔었기 때문에, 이번 원전사고 여파는 더욱 뼈아프다.
입찰기한은 7월 초에 끝나지만, 간사이 전력 등 다른 일본기업도 입찰은 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한다.
한편, 미국 및 러시아가 이번 말레이시아 원전 건설 사업 수주를 노리고 있다고 한다. 일본의 수주 단념으로, 양국간 수주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말레이시아는 천연가스 및 석유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2021년 가동을 목표로 첫 원전도입을 표명했다. 2기를 건설할 계획이다. 그러나 일본발 원전사고로 인해, 말레이시아 국민들 사이에서는 원전건설을 불안해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고 한다.
일본의 협력으로 원전건설을 계획하고 있었던 동남아시아 각국도 신중론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도쿄신문은 보도했다.
|